파이썬 딕셔너리 다루는 기본 문법

파이썬 딕셔너리의 기본 이해

파이썬에서 딕셔너리(dictionary)란 데이터 구조로, 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을 저장하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의 이름으로서 키를 이용해 해당하는 값을 빠르게 조회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런 이유로 딕셔너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며, 특히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접근하는 데 유용합니다.

딕셔너리의 생성

딕셔너리를 생성하기 위해 중괄호({})를 사용하거나 dict()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중괄호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:

fruits = {"apple": 3, "banana": 5, "orange": 7}

위의 코드에서 각 과일 이름은 키에 해당하고 해당 과일의 숫자는 값으로 저장됩니다.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이 dict() 함수를 통해서도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:

fruits = dict(apple=3, banana=5, orange=7)

딕셔너리에 데이터 추가 및 삭제하기

딕셔너리에 키-값 쌍을 추가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.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려면 새 키를 정의하고 값을 할당해주면 됩니다:

fruits["grape"] = 4

이렇게 하면 ‘grape’이라는 키가 추가되며, 그에 대한 값은 4로 설정됩니다. 이제 딕셔너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:

print(fruits) # {'apple': 3, 'banana': 5, 'orange': 7, 'grape': 4}

반면에 특정 키를 삭제하고 싶다면 de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:

del fruits["banana"]

딕셔너리에서의 데이터 접근

저장된 값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키를 사용하면 됩니다.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:

apple_count = fruits["apple"]

위의 코드에서 ‘apple_count’ 변수는 ‘fruits’ 딕셔너리의 ‘apple’ 키에 해당하는 값을 갖게 됩니다. 또한, 특정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KeyError가 발생하므로, 이를 피하기 위해 get() 메서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:

banana_count = fruits.get("banana", 0)

이렇게 하면 ‘banana’ 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인 0을 반환합니다.

딕셔너리를 활용한 다양한 작업

파이썬 딕셔너리는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예시를 몇 가지 소개하겠습니다.

데이터 집합 관리

딕셔너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학생의 이름과 점수를 저장하는 구조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:

students_scores = {"Alice": 90, "Bob": 85, "Charlie": 92}

이럴 경우 각 학생의 이름을 키로, 점수를 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
JSON 데이터 처리

딕셔너리는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도 많이 활용됩니다. 보통 API를 통해 JSON 데이터를 받아오는 경우가 많은데, 이 데이터를 파이썬의 딕셔너리 형태로 변환하여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. 다음과 같은 예시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:

import json
json_data = '{"name": "Kim", "age": 30, "city": "Seoul"}'
data = json.loads(json_data)
print(data["name"]) # Kim

빈도 계산

딕셔너리는 텍스트에서 단어 빈도를 세는 데도 매우 유용합니다. 다음과 같이 간단한 코드를 이용하면 텍스트 내 단어 빈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:

text = "hello world hello universe"
word_count = {}
for word in text.split():
  if word in word_count:
    word_count[word] += 1
  else:
    word_count[word] = 1
print(word_count) # {'hello': 2, 'world': 1, 'universe': 1}

딕셔너리의 주요 특징

딕셔너리는 데이터 구조적으로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:

  • 키의 유일성: 각 키는 고유해야 하며 중복된 키는 허용되지 않습니다.
  • 값 수정 가능성: 키에 대응하는 값은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.
  • 빠른 검색 속도: 해시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여 키를 통해 값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마무리

파이썬의 딕셔너리는 그 유용성과 편리함 덕분에 다양한 데이터 관리 및 처리에 적합한 자료구조입니다. 이 글에서 소개한 방식들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. 딕셔너리의 기본적인 활용법과 더불어 다양한 응용법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귀하의 작업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

파이썬에서 딕셔너리를 어떻게 생성하나요?

딕셔너리는 중괄호를 사용하거나 dict() 함수를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fruits = {"apple": 3, "banana": 5}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 가능합니다.

딕셔너리에서 특정 데이터를 어떻게 삭제하나요?

딕셔너리에서 특정 키를 제거하려면 del 키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. 예를 들어, del fruits["banana"]와 같이 작성하면 ‘banana’ 키가 삭제됩니다.

답글 남기기